홍개명
Hong Gae-myeong / 洪開明 / 1906  ~ 
대표분야
감독, 배우, 편집, 시나리오
활동년대
1920, 1930, 1940
DB 수정요청

필모그래피 (13)

더보기
감독 :
전우 (홍개명, 1949)
청춘부대 (홍개명, 1938)
장화홍련전 (홍개명, 1936)
아리랑고개 (홍개명, 1935)
혈마 (홍개명, 1928)
사나이 (홍개명, 1928)

주요경력

십월회 중간부
조선키네마사 감독부
중외극장 연출부
신무대 연출부
연극시장 연출부
아리랑가극단 내지에서 주간
경성섭영소 감독부
낭낭좌 연출부
화낭원 연출부
한국전쟁 당시 납북

영화인 정보조사

출처 : 한국영화인 정보조사
홍개명은 한국 영화 초기에 다방면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친 인물 중에 한 명이었다. 조선키네마에서 연출부 일을 돕기도 하고, 나운규가 감독한 <금붕어>에서는 배우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후 나운규가 독립하여 나운규프로덕션을 설립할 때, 조선키네마를 나와서 나운규 프로덕션에 합류하였다(동아일보a; 한국영화감독사전). 1927년에는 <혈마>라는 작품으로 감독 데뷔를 하였다. 사실 홍개명이 처음부터 감독을 맡은 것은 아니었다. 제작사에서 일본인 감독을 초빙하여 감독을 맡겼는데, 생각보다 형편없는 모습을 보이자 그를 돌려보내고 홍개명에게 감독을 맡겼던 것이다(동아일보b). 하지만 대구 지방 어느 양반가에서 일어난 실화를 다룬 이 영화는 문중의 항의와 검열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대구지사와 경기지사의 명령으로 상영이 금지되었다는 기록도 있고, 1928년 3월 1일부터 2일간 단성사에서 겨우 상영할 수 있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이영일; 중외일보).
1929년에는 주삼손, 박정섭 등고 함께 나운규프로덕션을 탈회하고 청귀(靑鬼)키네마를 조직하였는데, 특별한 작품을 제작하지는 않았다(동아일보c). 1931년에는 홍개명이 감독으로 <명일의 여성>이란 작품을 준비하고 있다는 기사가 있었다. 철도자살을 한 젊은 두 여성의 실화를 바탕으로 조선영화제작연맹에서 제작하고, 그 완성본은 상해육합영편공사에 보내서 상영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나웅, 윤봉춘, 김연실, 김정숙 등이 출연하기로 한 이 영화가 실제로 제작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동아일보d).
한동안 영화와 멀어져 있던 홍개명이 감독으로 다시 돌아온 작품이 1935년 <아리랑 고개>였다. 동시녹음으로 제작된 <아리랑 고개>는 경성촬영소의 제2회 작품으로 이명우가 촬영르 맡았고, 노재신, 문예봉, 문수일 등이 출연하였다. 영화의 내용은 완고한 양반집에서 태어난 아랑아가씨가 어려서 같이 자라던 종의 아들 칠성이와 사랑하게 되면서 겪는 어려움을 그린 영화였다. 재미있는 것은 아랑 역은 노재신이, 칠성 역은 문예봉이 맡았다는 것이다. 두 여배우가 남녀 주인공을 연기한 것이다. 계속해서 <장화홍련전>(1936)과 <청춘부대>(1938)의 감독을 맡았다(동아일보e; 매일신보).
해방 이후에는 미국공보원 영화과가 지원하고 이명우프로덕션에서 제작한 <전우>(1949)의 감독을 맡았다. 제작비로 1000만원이 투여되고, 2만 여명이 동원되었다고 하는 <전우>는 육군본부 작전교육국 정훈과 영상대와 내무부 치안국 경무과의 후원을 받아 제작된 영화였다. 이 영화는 서울시 문화위원회가 1950년 서울시문화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경향신문a; 경향신문b) 한국전쟁 중에 납북되었다고 한다(한국영화감독사전).

* 참고문헌
동아일보a 1927년 9월 21일 3면.
동아일보b 1927년 11월 26일 3면.
동아일보c 1929년 4월 28일 3면.
동아일보d 1931년 4월 14일 4면.
동아일보e 1935년 12월 28일 4면.
중외일보 1928년 2월 29일
매일신보 1935년 12월 29일 4면.
경향신문a 1949년 8월 4일 2면.
경향신문b 1950년 2월 25일 2면.
김종원, <<한국영화감독사전>>, 국학자료원, 2004
<<이영일의 한국영화사를 위한 증언록-김성춘, 복혜숙, 이구영>>4, 소도, 2003.

[작성: 김영진]
[감수: 김종원]
출처 : 한국영화감독사전
예명 토무(吐無). 1906년 1월 15일 경기도 남양주에서 태어났으며 학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토월회에 들어가 극예술을 익히고 조선키네마프로덕션 제작부에서 연출일을 돕다가 나운규 감독의 <금붕어>(1927)에 출연, 감독 진출작은 1928년 나운규프로덕션이 제작한 <사나이>이다. 나운규 각본, 유신방. 윤봉춘. 이금룡 등이 출연한 이 영화는 채석강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사나이들의 이야기. 그들은 동지들을 규합하여 악덕 채석장 주인을 때려 눕히고 채석장을 떠난다. 같은 해 내놓은 <혈마(血魔)>(1928)는 제작과정에서 부터 논란을 일으킨 화제작으로, 전체 9권 중 3분의 1인 3천 5백 자 가량의 필름이 잘려 나가고 제목 또한 <재활(再活)>로 바귄 뒤에야 빛을 볼 수 있었다. 경상북도 어느 부호 가문의 실화를 소재로 한 것으로 풍기문란의 요소와 문중의 거센 항의가 그 이유였다. 이필우가 기획, 촬영한 고려영화제작소 작품. 안금향 주연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인에게 잘 알려진 그의 연출 영화는 <춘향전>(1935)에 이어 두 번째 발성영화가 된 <아리랑 고개>(1935·문예봉 주연)와 세 번째인 <장화홍련전>(1936. 문예봉·지경순 출연)이라고 할 수 있다. <아리랑 고개>는 종의 아들이 양반집 딸을 사랑했으나 반대에 부딪치자 하수인들에게 몰매를 맞아 기진맥진한 몸을 이끌고 애인과 함께 아리랑 고개를 넘어 간다는 내요. 홍개명은 이를 통해 양반이 우대받는 봉건사회의 계급의식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그는 이밖에 사업자금을 구하기 위해 땅문서를 갖고 서울로 올라온 시골 사나이(차상은)가 이를 노리고 접근해 온 사기꾼(전택이)을 달래 깨우치게 하는 <청춘부대>(1938), 공산학정에 시달리다 못해 월남한 형제가 각기 국군과 경찰에 투신하여 멸공전선에 앞장선다는 <전우>(1949)를 내놓았다. 미공보원이 제작한 이 영화는 다음해 제 2회 서울시문화상 영화부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 역시 이명우, 박기채 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6·25전쟁 때 북한으로 끌려 갔다.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