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menu
KMDb
Search
통합검색
검색어 삭제
검색
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서비스
ENG
설정
통합검색
검색
DB
DB 서브
통합검색
상세검색
작품 DB
인명 DB
소장자료
리스트
테마키워드
영화제
영화글
영화글 서브
리뷰
한국영화걸작선
초이스
사사로운영화리스트
연재
테마연재
월간스크린
임권택X102
존포드이야기
[完]실험영화
[完]시나리오 상상극장
[完]신판 주말의명화
[完]오늘의 뉴우스
[完]한국영화비디오모험기
[完]비장의 OST
[完]2주의 시네마테크
[完]삐용삐용B무비
기획
칼럼
영화현장
영화인
영화사
한국영화사100년
세계영화사의 순간들
웹툰
러브 인 시네마
스노우캣
종료연재
기관지
사용자리뷰
VOD
VOD 서브
VOD 초이스
전체보기
영화
영화인다큐
한국영화사료관
한국영화사료관 서브
구술채록문
해제 콘텐츠
영화잡지
영화전단
공문서
발간도서
연감/총서
사료관 게시판
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서브
KMDb 이용안내
VOD 이용안내
가이드
온라인 민원
1:1문의
영화인등록
FAQ
오픈API안내
이용안내
파일데이터
Open API
공지사항
한국영상자료원
로그인
마이페이지
초기화면 설정
GNB닫기
홈
DB
이전
이창동
Lee Chang-dong / 李滄東 / 1954 ~
대표분야
감독, 시나리오
활동년대
1990, 2000, 2010
DB 수정요청
소장자료
기본정보
영상자료
(8)
동영상(8)
이미지
(47)
스틸(36)
스틸필름(11)
문헌자료
(4)
도서(4)
이미지 (
47
)
더보기
시
시
시
시
동영상 (
8
)
더보기
제작보고회
00:05:28
시 : 기자회견 : 2010
제작보고회
00:04:40
시 : 제작보고회 : 2010
메이킹
00:05:00
시 : 이창동vs윤정희 : 2010
메이킹
00:08:51
시 : 메이킹 : 2010
필모그래피 (
36
)
더보기
감독
:
버닝
(이창동, 2018)
시
(이창동, 2010)
밀양
(이창동, 2007)
오아시스
(이창동, 2002)
박하사탕
(이창동, 1999)
초록 물고기
(이창동, 1997)
수상정보
더보기
제 16회 청룡영화상(1995)
:
여자신인상(
금홍아 금홍아
)
제 32회 백상예술대상(1996)
:
영화부문 시나리오상(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
제 33회 백상예술대상(1997)
:
영화부문 신인감독상(
초록물고기
)
주요경력
1981년 영양고등학교 국어교사
~1986년 신일고등학교 국어교사
1992년 『녹천에는 똥이 많다』로 한국일보 문학상 수상
1996년 이스트 필름 설립
1999년 1월 유니코리아문예투자 이사
2000년 스크린쿼터문화연대 정책위원회 위원장
2001년 7월 영화인회의 정책위원회 위원장
2001년 7월~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
2002년 문화관광부 보관문화훈장
2003년 2월~2004년 6월 제6대 문화관광부 장관
2006년 프랑스 레종 도뇌르 훈장
2007년 8월 제12회 부산국제영화제 심사위원회 위원
2007년 9월 제8회 도쿄 필멕스 경쟁부문 심사위원, 제5회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심사위원장
2009년 제62회 칸 국제영화제 심사위원
2010년 6월 제45회 카를로비바리국제영화제 국제경쟁부문 심사위원
2011년 제64회 칸 국제영화제 비평가주간 심사위원장
펼쳐보기
기타정보
관련글
더보기
시와 현실의 세계: <시>
강물은 유유히 흐른다. 햇살에 반짝이는 잔잔한 강물은 무심한 듯 아무 말이 없다. 아이들은 강가 옆 풀밭에서 천진하게 놀고 있고, 새들이 지저귀는 맑은소리와 조용히 흐르는 강물 사이로 한가로운 여름날의 모습이 보인다. 평화롭고 잔잔한 풍경 뒤로 어린 소녀의...
by.
양지은(영화글쓰기키트 수강생)
2019-11-21
이창동의 <초록물고기>(1997): 대중영화와 작가주의 노선의 완벽한 만남
1995 - 1999 1990년대 중후반 한국 사회와 영화계 한국 사회가 언제 평탄한 적이 있었을까 싶지만, 1990년대 중후반 역시 엄청난 시련과 문화적 역동이 함께한 시기였다. 1993년 출범한 김영삼 정부는 개혁 행보로 국민의 지지를 얻었지만, 정권의 부패 ...
by.
정종화(한국영상자료원 선임연구원)
2019-01-10
[한국영화 10년] 세계 3대 영화제 수상
한국영화는 지난 10년간 국제적 인지도를 갖춘 감독과 배우를 배출했다. 이들은 작품성과 대중성을 두루 갖춘 ‘웰메이드영화를 관객들에게 선사했고, 이들의 영화가 세계 3대 영화제에서 인정을 받으며 한국영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
by.
민병현(한국영상자료원 경영기획부)
2010-01-20
영화인 정보조사
출처 : 한국영화감독사전
1954년 대구시 남구 대명동 565-8번지에서 출생하였다. 경북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으며 1982년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어 소설가로 10여 년간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집으로는 <소지>가 있으며 1993년 박광수 감독의 <그 섬에 가고 싶다>의 연출부와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하면서 영화계에 입문하였다. 그 후 청계피복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노동운동을 벌이다가 노동삼권보장과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분신자살한 전태일 열사의 평전을 영화화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의 시나리오 작업에도 참여하면서 영화 연출의 수업을 차근차근 받아갔다. 1996년 영화계의 지우인 명계남, 문성근의 후원으로 자작 시나리오 <초록 물고기>를 통해 감독 데뷔하면서 평단의 호평을 받았다. <초록물고기>는 서울의 주변도시인 일산과 영등포의 공간을 통해 도시화와 산업화에 의해 피폐해져가는 한 가족의 자화상을 통해 산업화로 인해 형성된 한국사회의 그림자를 스크린을 통해 성공적으로 부각시켰다. 그리고 와해된 가족을 복원하려 막동이(한석규 분)의 노력은 음식점을 하는 가족을 통해 결말 장면에 가시화되며 영등포 공간에서 배태곤(문성근 분) 일파의 조직원으로서 소모품이 되어 살해되는 막동의 전락은 느와르 장르의 관행에 충실한 영화적 완결성을 보여주었다.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아 벤쿠버 영화제에서 용호상을 수상하여 신인 감독 이창동의 이름을 해외에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 이 작품의 주인공이었던 한석규는 자신의 배역 이름을 사용하여 영화전문 주간지 <씨네21>에서 “막동이 시나리오상”을 제정하여 시나리오 작가를 발굴하는 사업에 기여하기도 하였다.
부산영화제 개막작인 1999년 <박하사탕>은 20세기 한국현대사를 관통하면서 좌절되고 굴절된 한 개인(설경구 분)의 사랑과 역사적 상처를 다룬 수작으로 평단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세 번째 작품인 2002년 <오아시스>는 베니스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과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하여 국내외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오아시스>는 뇌성마비 여성과 출소한 전과자간의 사랑을 다루었으며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자유로운 영화적 상상력으로 한국영화의 표현의 지평과 주제적 깊이를 넓힌 수작으로 평가되었다. 2003년 참여정부에 문화부장관으로 입각하여 활동의 폭을 넓혔다.
상단으로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
검색
DB
영화글
VOD
한국영화사료관
저장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