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menu
KMDb
Search
통합검색
검색어 삭제
검색
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서비스
ENG
설정
통합검색
검색
DB
DB 서브
통합검색
상세검색
작품 DB
인명 DB
소장자료
리스트
테마키워드
영화제
영화글
영화글 서브
리뷰
한국영화걸작선
초이스
사사로운영화리스트
연재
테마연재
월간스크린
임권택X102
존포드이야기
[完]실험영화
[完]시나리오 상상극장
[完]신판 주말의명화
[完]오늘의 뉴우스
[完]한국영화비디오모험기
[完]비장의 OST
[完]2주의 시네마테크
[完]삐용삐용B무비
기획
칼럼
영화현장
영화인
영화사
한국영화사100년
세계영화사의 순간들
웹툰
러브 인 시네마
스노우캣
종료연재
기관지
사용자리뷰
VOD
VOD 서브
VOD 기획전
전체보기
영화
영화인다큐
한국영화사료관
한국영화사료관 서브
구술채록문
해제 콘텐츠
영화잡지
영화전단
공문서
발간도서
연감/총서
사료관 게시판
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서브
KMDb 이용안내
VOD 이용안내
가이드
온라인 민원
1:1문의
영화인등록
FAQ
오픈API안내
이용안내
파일데이터
Open API
공지사항
한국영상자료원
로그인
마이페이지
초기화면 설정
GNB닫기
홈
DB
이전
이월화
Lee Wol-hwa / 李月華 / 1904 ~ 1933
본명
이정숙 (Lee Jeong-suk)
대표분야
배우, 시나리오
활동년대
1920
DB 수정요청
소장자료
기본정보
이미지
(1)
스틸(1)
이미지 (
1
)
더보기
이월화
필모그래피 (
4
)
더보기
배우
:
지나가의 비밀,일명 흑진주
(유장안, 1928)
뿔빠진 황소
(김태진, 1927)
해의 비곡
(왕필렬, 1924)
월하의 맹서
(윤백남, 1923)
주요경력
1922년 민중극단 가입, 윤백남에게 "월화"라는 예명 받음
1923년 토월회 주연배우로 발탁
1925년 오양가극단(五洋歌劇團) 단장
1929년 오양극단 창립 운영
기타정보
기타이름
홍소회
주요기타작품
<영겁(永劫)의 처> 독부 올가 역,민중극단(1922)
<부활>의 카추사 역, 토월회(1923)
한국영화사료관
더보기
[영화잡지] 국제영화 1963년 3월호
발행일
1963-02-01
[해제 콘텐츠] 연예계의 지주 영화계의 대모, 복혜숙
by.
심혜경(영화사연구자)
2019-01-21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대일본 레코-드 회사 문예부장 이서구 끽다점 「비-너스」 매담 복혜숙 조선권번기생 오은희 한성권번기생 최옥진 종로권번기생 박금도 빠-「멕시코」 여급 김은희 영화여우 오도실 동...
영화인 정보조사
출처 : 한국영화인 정보조사
이월화의 출생에 관련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지만, 본적이 충청남도 예산이라는 설명이 있다(동아일보c). 이월화는 부산의 어느 병원에 간호사로 일하다가, 부산의 여명극단에 가입한 것이 배우로서의 첫무대라고 한다(동아일보a).
여명극단이 흐지부지되자 서울에 올라와서 민중극단에 가입하였다. 그 동안 이정숙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이때부터 이월화라는 이름으로 활동하였다. 1923년 <영겁의 처>에서 올가로 출연하게 되면서 명성을 쌓아 나갔다. 이즈음 윤백남에 의해서 영화 <월하의 맹서>의 여주인공으로 발탁되었다(동아일보a; 조선일보a). 민중극단이 해산하자 토월회로 옮겨갔으며, <부활>의 카츄사, <알트 하이델베르히>의 케티, <사랑과 죽음>의 포리야, <카르멘>의 카르멘 등의 역할을 맡으면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눈물의 여왕’이기도 했던 그녀는 독부역할에 재능이 있었다고 한다. 이 시기에 이월화는 여러 남자들과의 추문에 휩쓸리다가 돌연 상해로 떠나버렸다(조선일보a; 조선일보d; 동아일보a).
1년여가 지난 후에 상해에서 다시 돌아온 이월화는 부산 조선키네마에서 활동하며 <해의 비극>(1924)에 출연하였다(동아일보a). 조선키네마의 다음 작품인 <운영전>(1925)에 출연하기로 했지만 배역이 맘에 들지 않는다며 사퇴하였다(동아일보b). 이후 <뿔 빠진 황소>(1927), <지나 가의 비밀>(1928)에 출연하였지만, 늙은 어머니와의 생활을 지탱하기 어렵게 되자, 조선권번에 기적을 올리고 기생이 되었다(조선일보a).
1928년에는 여성들로 이루어진 오양극단(五洋劇團)의 단장이 되어 지방순행을 다녔지만, 흥행에는 실패하였다. 실망한 이월화는 다시 상해로 갔고, 거기서 댄서 생활을 하던 중에 이춘래(李春來)라는 중국인 부호의 아들과 사귀었고, 이후 일본의 모지(門司)시에서 살았다고 한다. 1933년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조선일보c; 동아일보c).
* 참고문헌
동아일보a 1925년 8월 26일 5면.
동아일보b 1925년 11월 21일 5면.
동아일보c 1933년 7월 19일 2면.
조선일보a 1928년 1월 5일 석간 2면.
조선일보b 1930년 8월 20일 석간 2면.
조선일보c 1933년 7월 19일 석간 2면.
조선일보d 1939년 6월 1일 조간 4면.
[작성: 김영진]
[감수: 김종원]
상단으로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
검색
DB
영화글
VOD
한국영화사료관
저장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