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진
Kim Dong-jin / 金東振 / 1913  ~  2009
대표분야
음악
활동년대
1940, 1950, 1960, 1970
DB 수정요청

필모그래피 (68)

더보기
음악 :
신궁 (임권택, 1979)
돌종 (이규웅, 1977)
사랑의 원자탄 (강대진, 1977)
돌아온 팔도강산 (정소영, 1976)
조총련 (박태원, 1974)
구슬공주 (이규웅, 1968)
효자문 (문상훈, 1968)
아네모네 마담 (김기덕, 1968)
한(속) (유현목, 1968)
아리랑 (유현목, 1968)

주요경력

1939년 만주 신경교향악단 입단
1945년 해방 이후 국립음악학원(김원균평양음악대학의 전신) 교수 임용
1950년 한국전 발발 후 월남하여 육군 종군작가단, 해군 정훈음악대 소속으로 참전
1953년 서라벌예술대학 음악과 교수 임용
1963년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임용
1974년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학장 취임
1982년 대한민국예술원상

기타정보

기타이름
金森東振

관련글

더보기
  • '가고파'와 '배고파'의 갈림길, 金東振 대 金東珍 같은 계통에서 활동하는 여러 사람의 이름이 같다면, 설령 한자 표기가 다르다고 해도 곤란한 경우가 종종 생기게 마련이다. 이 사람을 저 사람으로 오해하기 쉽고, 오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자료를 찾아야 하는 일도 꽤나 번거롭다. 그런 면으로 볼 때 한 ... by.이준희(대중음악비평가) 2011-01-11

한국영화사료관

더보기
  • [공문서] 장편기록영화 제작계획(가제 번영하는 한국) by.국립영화제작소 2018-02-23
    기록물철명해외홍보-이것이 한국이다 생산기관국립영화제작소 생산일1972-03-18 키워드번영하는 한국, 국립영화제작소, 여석기, 유한철, 이근삼, 김석야, 배석인, 선우휘, 양종해, 유현목, 정진우, 김동진, 김성태, 이용민, 최호진, 고해진 뷰어
  • [공문서] 장편기록영화 기획위원회 개최 by.국립영화제작소 2018-02-23
    기록물철명해외 홍보-이것이 한국이다 생산기관국립영화제작소 생산일1972-03-24 키워드기록영화, 국립영화제작소, 조국근대화, 이것이 한국이다, 여석기, 유한철, 선우휘, 한갑수, 이근삼, 김석야, 배석인, 양종해, 유현목, 정진우, 김동진, 김성태, 이용민, 최호진, 고해진 뷰어
  • [공문서] 장편기록영화 기획위원회 개최(보고)(국립영화제작소->문화공보부) by.국립영화제작소 2018-02-23
    기록물철명해외 홍보-이것이 한국이다 생산기관국립영화제작소 생산일1972-03-29 키워드이것이 한국이다, 국립영화제작소, 여석기, 유한철, 선우휘, 이근삼, 김석야, 배석인, 양종해, 유현목, 정진우, 김동진, 이용민, 최호진, 고해진 뷰어

영화인 정보조사

출처 : 한국영화인 정보조사
1913년 평안남도 안주에서 태어나 1939년 일본 니혼고등음악학교에서 바이올린 전공으로 졸업했다. 같은 해 만주국 수도 신징음악협회(新京音樂協會) 관현악부 제1바이올린주자로 입단했다. 1945년 소련군이 만주국에 들어오자 신징을 떠나 평양에 도착해 해방을 맞고, 그 뒤 평양교향악단에서 지휘자로 활동하는 한편 평양음악학교 교수로 재직하다 한국전쟁 때 월남했다(친일인명사전). 1947년 김소동 감독의 <목단등기>의 음악을 담당한 것을 인연으로, 이후 이강천의 <백치 아다다>(1956), 홍성기의 <별아 내가슴에>(1958), 유현목의 <성웅 이순신>(1962), <카인의 후예>(1968), 정소영의 <돌아온 팔도강산>(1976> 등에서 영화음악을 담당했다. 1966년 <태양은 다시 뜬다>(유현목)으로 제4회 청룡영화상 음악상을, 1967년 <하얀까마귀>(정진우)로 제6회 대종상 영화제 음악상을 수상했다(경향신문a). 경희대학교 음대교수로 재직했으며, “수선화,” “산유화,” “못잊어” 등 대중에게 익숙한 가곡을 여러 편 작곡했다. 2009년 노환으로 별세했다(경향신문b).

* 참고문헌
경향신문a 1967년 12월 5일자 3면
경향신문b 2009년 7월 31일자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1』, 민족문제연구소, 2009.

[작성: 김한상]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