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진
Kang Dae-jin / 姜大振 / 1933  ~  1987
대표분야
감독
활동년대
1950, 1960, 1970, 1980
DB 수정요청

필모그래피 (60)

더보기
감독 :
몽마르트 언덕의 상투 (강대진, 1987)
화평의 길 (강대진, 1984)
죽으면 살리라 (강대진, 1982)
석양의 10번가(빛을 마셔라) (강대진, 1979)
사랑의 뿌리 (강대진, 1978)
사랑의 원자탄 (강대진, 1977)
유정 (강대진, 1976)
푸른낙엽 (강대진, 1976)
달래 (강대진, 1974)
돌아갈 수 없는 고향 (강대진, 1972)

관련글

더보기
  • [한국영화걸작선]마부 : 10월의 영화 I 1960년대 한국영화는 지난 시절 유행했던 멜로드라마의 감정적 흐름을 딛고 조금씩 변화하는 중이었다. 전통 신파의 줄기에 미묘하게 균열이 생긴 것이다. 1950년대 한국영화 중흥기를 이끌었던 감정 주도적 드라마의 원형은 새로운 10년을 맞아 사실적이고도 사회 ... by.이지현(영화평론가) 2019-10-01
  • [한국영화걸작선]박서방 : 9월의 영화 I 강대진 감독의 세 번째 영화 <박서방>(1960)은 '1960년대 한국영화'라는 범주에 가장 안정적으로 놓인 작품처럼 보인다. 한국전쟁 후 상처입고 무기력 해져버린 아버지, 전근대와 근대의 충돌, 그리고 이와 정확하게 맞물려 있는 세대 간의 갈등과 아 ... by.우혜경(영화평론가) 2019-09-02
  • <박서방>(1960) 박서방: 아니 그런 말 하려고 날 불렀소? 주식 고모: 그렇죠. 구체적으로 말씀 드리자면 대학 출신은 대학 출신끼리, 명문의 집안은 명문의 집안끼리, 노동자는 노동자의 집안끼리. (박서방, 흥분하여 일어서서 나가려 한다) 주식 고모: 훌륭한 사위감을 볼... by.김한상(한국영상자료원 연구원) 2008-08-28

영화인 정보조사

출처 : 한국영화인 정보조사
최인현, 이형표, 임원식, 이장호 등과 함께 이른바 신상옥 사단으로 불리는 감독 가운데 한 명으로 <박서방>(1960), <마부>(1961) 등의 영화를 통해 서민적 일상을 탁월히 묘사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마부>는 베를린 영화제에 출품되어 심사위원 특별 은곰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1960년대 초반 신필름의 주요 작품 스타일이었던 이른바 홈 드라마의 자장 안에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고 할 것인데, 비슷한 시기에 출발한 신필름의 감독들이 대규모 사극이나 액션물 등, 혹은 홍콩 쇼브라더스와의 합작 등으로 장르물에까지 관심을 넓혔던 것에 비해, 1960년대에 줄곧 멜로드라마를 연출하였다. 그러한 스타일의 작품으로 <이쁜이>(1964), <강명화>(1967), <청춘극장>(1967) 등이 있고, 1970년대 후반부터는 <사랑의 원자탄>(1977), <죽으면 살리라>(1982), <화평의 길>(1984) 등 종교 영화를 만들기 시작한다. 1987년 4월 1일 유작 <몽마르트 언덕의 상투>의 개봉을 보지 못하고 별세하였다(경향신문a).
※ 작고 시, 동명이인 제작자인 강대진(姜大榛)의 부음으로 오인한 이들의 작은 혼란이 있었다고 한다(경향신문b)

* 참고문헌
경향신문a 1987년 4월 14일 11면
경향신문b 1987년 4월 22일 7면

[작성: 황미요조]
출처 : 한국영화감독사전
1933년 5월 4일 전남 목포 출생으로 1987년 4월 1일 54세의 나이에 작고했다. 최종 학력은 서라벌 예술대학 연극영화과 졸업. 초등학교 때 최인규 감독의 <파시>(1949) 촬영 광경을 보고 영화감독에 매력을 느낀 것이 계기가 되어 이 길에 들어섰다. 신상옥 감독 밑에서 3년 간 조감독 생활을 하며 현장 감각을 익히고 1959년 스물 일곱 살 때 처음 메가폰을 잡은 것이 <부전자전>. 어려운 가운데서도 미소를 잃지 않는 서민의 세계를 정감있게 그린 코믹터치의 작품이다. 뒤이어 동생의 학비 마련을 위해 본의 아니게 사람을 죽이고 옥살이하다가 풀려난 공장 직공이 아내에게 외면당하고 의사가 된 동생에게 맡겨진 딸마저 구박당하는 사실을 알게 되자 딸을 데리고 정처없이 떠난다는 안종화 원작(역습:1936),김승호,조미령 주연의 <해 떨어지기 전에>(1960)를 비롯하여 <박서방>(1960),<마부>(1961),<어부들>(1961)등 일련의 서민영화와 <사랑과 미움의 세월>(1962),<상한 갈대를 꺾지 마라>(1962),<외나무 다리>(1962),<새엄마>(1963),<단골손님>(1964),<딸의 훈장>(1964),<삭발의 모정>(1965),<청춘극장>(1967),<강명화>(1967),<가고파>(1967),<사랑>(1968),<흐느끼는 백조>(1968),<버림받은 여자>(1970),<사랑의 뿌리>(1978),<화평의 길>(1984),<몽마르트의 상투>(1987)등 모두 46편을 세상에 남겼다. 이 가운데서 주목을 끈 것은 3대 서민영화로 꼽히는 <박서방>,<마부>,<어부들> 등 그의 초기작들이다. <박서방>과 <마부>가 각기 홀아비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이른바 고진감래를 주제로 한 것이라면, <어부들>은 바다와 함께 살아가는 어부들의 애환을 소재로 다룬 것이다. <박서방>이 연탄 아궁이를 수리하는 미장이와 남매를 내세운 대신 <마부>는 말을 세내어 마차를 끄는 마부와 네 남매를 등장시켜 직업을 달리했을 뿐 이야기의 패턴은 거의 같다. 두 영화가 모두 1960년대 출세 길의 상징인 아들의 '고등고시 합격'을 정점으로 삼아 해피엔드로 귀결시킨 점도 마찬가지다. 김승호,김진규,조미령 등이 출연한 <박서방>은 제8회 아세아 영화제 남우주연상(김승호)을, 김승호,신영균 등이 열연한 <마부>는 제 11회 베를린 영화제 특별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그는 멜로드라마 외엔 어떤 장르에도 손을 대지 않았다. 대부분의 감독들이 한 두 편의 액션물이나 사극을 내놓았으나 이 장르로 일관하였다. 남편의 방탕한 생활로 외롭게 된 주부가 외도에 빠진 동안 사업에 실패한 남편이 죽자 회계하고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신영균,문정숙 주연의 <사랑과 미움의 세월>(1962)는 물론, <상한 갈대를 꺾지 마라>(1962),<외나무 다리>(1962),<새엄마>(1963),<몽마르트 언덕의 상투>(1987)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전향이의 데뷔작이기도 한 신영균,도금봉 출연의 <상한 갈대를 꺾지 마라>는 6.25때 고아가 된 후 한 젊은이의 위로와 사랑 속에 살아온 처녀가 첫사랑의 애인과 만나면서 갈등하지만 뒤에 사귄 청년의 양보로 그리던 사랑을 이루게 되고, 주연을 맡은 최무룡이 주제가를 불러 잘 알려진 <외나무 다리>는 고학으로 의과대학을 마친 청년이 은사이자 장차 장인이 될 사람의 도움으로 애인과 함께 의료활동을 하기 위해 고향에 돌아가며, 김진규,엄앵란 주연의 <새엄마>는 장성한 자식들이 있는 가정에 후처로 들어간 젊은 여성이 딸들의 시샘과 비슷한 또래의 아들로부터 사랑을 고백받는 등 고초를 겪게 되나 끝내 그들을 감회시켜 진정한 가족의 일원이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마지막 작품인 정동환,안소영 주연의 <몽마르트 언덕>은 숙원인 파리 유학의 꿈을 이룬 미술학도가 화가로 변신하고 한 여인의 도움 아래 출발하기까지의 사연이 그 줄거리이다. 이처럼 강대진의 작품들은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시련을 딛고 일어나 내일을 다지는 인간형을 선호했다. 그 대부분이 특수계층이 아니라 보통사람들이라는 점이 특색이다. 그에게서 서민영화 감독이라는 느낌이 강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