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menu
KMDb
Search
통합검색
검색어 삭제
검색
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서비스
ENG
설정
통합검색
검색
DB
DB 서브
통합검색
상세검색
작품 DB
인명 DB
소장자료
리스트
테마키워드
영화제
영화글
영화글 서브
리뷰
한국영화걸작선
초이스
사사로운영화리스트
연재
테마연재
월간스크린
임권택X102
존포드이야기
[完]실험영화
[完]시나리오 상상극장
[完]신판 주말의명화
[完]오늘의 뉴우스
[完]한국영화비디오모험기
[完]비장의 OST
[完]2주의 시네마테크
[完]삐용삐용B무비
기획
칼럼
영화현장
영화인
영화사
한국영화사100년
세계영화사의 순간들
웹툰
러브 인 시네마
스노우캣
종료연재
기관지
사용자리뷰
VOD
VOD 서브
VOD 초이스
전체보기
영화
영화인다큐
한국영화사료관
한국영화사료관 서브
구술채록문
해제 콘텐츠
영화잡지
영화전단
공문서
발간도서
연감/총서
사료관 게시판
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서브
KMDb 이용안내
VOD 이용안내
가이드
온라인 민원
1:1문의
영화인등록
FAQ
오픈API안내
이용안내
파일데이터
Open API
공지사항
한국영상자료원
로그인
마이페이지
초기화면 설정
GNB닫기
홈
DB
이전
김범수
Kim Bum-soo / 金範洙 / 1958 ~
대표분야
녹음, 배우, 음향효과
데뷔작품
자녀목 1978
활동년대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DB 수정요청
소장자료
기본정보
이미지
(3)
스틸(1)
스틸필름(2)
이미지 (
3
)
더보기
김범수
김범수
김범수
필모그래피 (
94
)
더보기
배우
:
맨발에서 벤츠까지
(이성수, 1991)
동시녹음
:
길
(이하림, 2020)
특수요원
(신재명, 2020)
캠퍼스 S 커플
(송창용, 2013)
나는 아빠다
(전만배,이세영, 2010)
구세주2
(황승재, 2009)
달콤한 거짓말
(정정화, 2008)
극락도 살인사건
(김한민, 2007)
검은집
(신태라, 2007)
만남의 광장
(김종진, 2007)
수상정보
더보기
제 31회 대종상 영화제(1993)
:
녹음상(
서편제
)
제 35회 대종상 영화제(1997)
:
음향기술상(
창(노는계집 창)
)
기타정보
영화계 입문배경
영화계에 입문하게 된 계기는 모든 한국영화가 동시녹음이 아닌 후기 녹음으로 처리되던 1970년대 후반이다. 이때 동시녹음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이 분야에 뛰어들기로 결심하였다. 그래서 지금은 작고한 양후보씨와 함께 국내영화의 동시녹음분야의 선구자 역할을 하였다.
주요 영화작품
겨울나그네(1986,곽지균감독)
상처(1989,곽지균감독)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1989,장길수감독)
꼴찌부터 일등까지 우리반을 찾습니다(1990,황규덕감독)
그들도 우리처럼(1990,박광수감독)
결혼이야기(1992,김의석감독)
서편제(1993,임권택감독)
참견은 노 사랑은 오예(1993,김유진감독)
투갑스(1993,강우석감독)
총잡이(1995,김의석감독)
닥터 봉(1995,이광훈감독)
진짜 사나이(1996,박헌수감독)
정글스토리(1996,김홍준감독)
그들만의 세상(1996,임종재감독)
용병이반(1997,이현석감독)
비트(1997,김성수감독)
넘버 3(1997,송능한감독)
창(1997,임권택감독)
8월의 크리스마스(1998,허진호감독)
건축무한 육면각체의 비밀(1999,유상욱감독)
만날때까지(1999,조문진감독)
비천무(2000,김영준감독)
애착작품 및 사유
담당했던 많은 영화중에서 가장 애착이 가는 작품으로 <서편제>를 들수 있다. 무척 화면에 담기 어려운 판소리를 영화화한 작품으로 각 커트를 나누어 동시녹음 및 플에이 백으로 처리를 하였는데 이 작품을 녹음할 때 0.5 콤마의 오류라도 발생하면 다시 재녹음을 하곤 하였다. 유난히 어렵게 녹음한 작품이라 가장 애착이 간다.
영화속 명소
<맨발에서 벤츠까지>에 등장하는 바이칼 호수와 <서편제>에 등장하는 청산도를 가장 명소로 꼽는다. <서편제>에서 아버지와 아들이 진도 아리랑을 부르며 가는 장면에 등장하는 아름다운 바닷가에 초가집들이 사방에 늘어서있는 청산도의 풍경은 참으로 기가 막히다.
추구하는 스타일/배역
녹음기사의 역할은 관객이 그 작품을 가장 빨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감정의 톤을 조절하면서 노이즈와 효과 및 대사의 감정처리에 가장 신경을 쓰고 있다.
펼쳐보기
상단으로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
검색
DB
영화글
VOD
한국영화사료관
저장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