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menu
KMDb
Search
통합검색
검색어 삭제
검색
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서비스
ENG
설정
통합검색
검색
DB
DB 서브
통합검색
상세검색
작품 DB
인명 DB
소장자료
리스트
테마키워드
영화제
영화글
영화글 서브
리뷰
한국영화걸작선
초이스
사사로운영화리스트
연재
테마연재
월간스크린
임권택X102
존포드이야기
[完]실험영화
[完]시나리오 상상극장
[完]신판 주말의명화
[完]오늘의 뉴우스
[完]한국영화비디오모험기
[完]비장의 OST
[完]2주의 시네마테크
[完]삐용삐용B무비
기획
칼럼
영화현장
영화인
영화사
한국영화사100년
세계영화사의 순간들
웹툰
러브 인 시네마
스노우캣
종료연재
기관지
사용자리뷰
VOD
VOD 서브
VOD 초이스
전체보기
영화
영화인다큐
한국영화사료관
한국영화사료관 서브
구술채록문
해제 콘텐츠
영화잡지
영화전단
공문서
발간도서
연감/총서
사료관 게시판
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서브
KMDb 이용안내
VOD 이용안내
가이드
온라인 민원
1:1문의
영화인등록
FAQ
오픈API안내
이용안내
파일데이터
Open API
공지사항
한국영상자료원
로그인
마이페이지
초기화면 설정
GNB닫기
홈
DB
이전
이석현
Lee Suck-hyun / 李碩炫 / 1959 ~
대표분야
촬영, 배우
데뷔작품
블랙잭 1997
활동년대
1980, 1990, 2000, 2010
DB 수정요청
소장자료
기본정보
이미지
(5)
스틸(5)
이미지 (
5
)
더보기
이석현
이석현
이석현
이석현
필모그래피 (
48
)
더보기
배우
:
디지털 삼인삼색 2000
(김윤태,장위엔,박광수, 2000)
극장아이들
촬영
:
작업의 정석
(오기환, 2005)
파송송 계란탁
(오상훈, 2004)
위대한 유산
(오상훈, 2003)
화성으로 간 사나이
(김정권, 2003)
남자 태어나다
(박희준, 2002)
선물
(오기환, 2001)
가위
(안병기, 2000)
간첩 리철진
(장진, 1999)
까
(정지영, 1998)
수상정보
더보기
제 35회 대종상 영화제(1997)
:
신인기술상(촬영)(
블랙잭
)
제 21회 황금촬영상영화제(구 황금촬영상 시상식)(1998)
:
신인촬영상(
블랙잭
)
제 23회 황금촬영상영화제(구 황금촬영상 시상식)(2000)
:
동상(
간첩 리철진
)
주요경력
1996년 그룹 015B 뮤직비디오 <21세기 모노리스>(민병천 감독) 촬영
기타정보
영화계 입문배경
아버지(이성휘:촬영감독)가 영화일을 하시니까 자연스럽게 나도 영화에 대한 접촉은 쉽게 이루어졌다. 그렇다고 내가 이 일로 가야한다는 짐을 지어주시진 않았지만 나 나름대로 사진에 대한 열정도 있었고 그래서 영화일을 하게 되었다. 원래 내가 장석준 촬영감독님보다 정운교 촬영감독님께 많은 조수 생활을 했다.그래서 나의 선배이시자 스승님이신 정운교 촬영감독을 좋아한다. 특히 아버지와 정감독님은 친구분이셔서 조수생활을 하면서 자연히 접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요즘에도 특수 촬영이 많이 나오지만 기본적인 그 당시에 내가 조수생활 당시에 특수촬영이란 조악하지만 매우 실험적인 것들이 많았다. 조수생화할 당시에 내가 봐둔 특수촬영이 나에겐 많은 도움과 앞으로의 영화촬영폭을 좀더 넓힐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주요 영화작품
블랙잭(1997,정지영감독)
까(1998,정지영감독)
간첩 리철진(1999,장 진감독)
가위(2000,안병기감독)
애착작품 및 사유
[간첩리철진]장진 감독과 이번에 하게된 간첩 리철진은 매우 코믹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독특한 카메라 앵글보다 분위기에 따라가는 앵글이 많았다. 이것역시 감독과 의견이 많이 일치했다. 그러면서도 과감한 핸드홀드도 사용되고 있다. 인물에 따라가는데로 좀더 자유스럽게 관객들이 볼수있도록 거북하지 않도록 앵글을 잡는데 노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좀더 이해하기 쉬운 장진감독의 작품이라고 생각한다.내가하고 싶은 작품은 좀더 아트적인 작품이다.지금은 상업영화들이 산재해 있고 예술영화라고 하는 그런 우리들에겐 좀더 진지하게 다가오는 영화들은 사장되어 있다. 시대가 그런 영화를 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일반대중들이 그런걸 원치 않기때문이다. 이런 것 또한 문화국민의 한 발판이 아닐까 싶다. 좀더 아트적이고 미학적인 그런 영화를 하면서 지금 현대에 발전한 특수촬영과 혼용을 해보고 싶다. 내가 배운것과 앞으로 나의 예술적인 감을 시험해 보고 싶은것이 사실이다.
영화속 명소
아직 그렇게 많은 작품을 하지 못해서 좋은 명소를 잘 모르겠다. 하지만 아직 알려지지 않은 주왕산에 있는 호수는 앞으로 명소가 될수 있는 소지가 있다.
펼쳐보기
상단으로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
검색
DB
영화글
VOD
한국영화사료관
저장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