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목소리 -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The Murmuring (Najeun Moksori - Asiaeseo Yeoseongeuro Sandaneun Geot) 1995 년
다큐멘터리 연소자관람가 대한민국 93분 1995-04-29 (개봉) 5,592(관람)
제작사
기록영화제작소보임
감독
변영주
스크랩하기 DB 수정요청

담을 위치 선택

이미지 (53)

더보기

줄거리

1993년 12월 23일, 일본 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출신 할머니의 100번째 수요 시위가 열린다. 그곳에 모인 위안부 강제 동원 할머니들과 정신대문제대책연합회 관계자들은 책임자를 처벌하고 배상금을 지불할 것을 요구한다. 1994년 8월 이후 영화는 김순덕, 박옥련, 이영숙, 박두리, 강덕경, 송판임 등 위안부 할머니 여섯 명이 함께 살고 있는 나눔의 집을 담아낸다. 할머니들은 각종 토론회와 공청회 등에 참석하며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들은 서로 마음이 맞지 않을 때도 있지만, 그림을 배우고 아픈 기억들을 공유하며 함께 살아간다. 1994년 11월 말 다큐멘터리 제작진은 중국 무한에 있는 위안부 출신 할머니들을 찾아가 인터뷰한다. 열일곱 살에 끌려와 하루 20~30명의 일본군을 받고 애 셋 딸린 중국 남성과 결혼했던 하군자 할머니, 성기가 작아 일본군을 ‘못 받는다’고 강제로 병원에서 수술까지 받아야 했던 홍강림 할머니, 딸에게 ‘부끄러운’ 과거를 고백하며 울어야 했던 김 할머니 등 중국에 남겨진 위안부 출신 할머니들의 고통스러운 과거와 현재가 영화에 담긴다. 1994년 12월 7일 서울 명동, 그해 마지막 시위에서 나눔의 집 할머니들은 위안부 문제 처리 없는 일본의 유엔 가입을 반대하는 주제로 시위를 한다. 그리고 12월 31일 할머니들과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관계자들은 송년회를 열고 더 나은 새해가 되기를 기원한다.

크레디트 (36) Full Credit

더보기
스태프
참여사
  • 제작사
    : 기록영화제작소보임

풀 크레딧 이미지 (17)

더보기

수상정보

더보기

기타 수상정보

  • 제 4회 야마카타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1995년) 뉴 아시안 흐름 상- 오가와 신스케 상 수상

상세정보

등급정보
(1) 심의일자 1995-04-07  심의번호 95-03  관람등급 연소자관람가  상영시간 93분  개봉일자 1995-04-29
개봉극장
피카소, 동숭씨네마텍2관, 뤼미에르2,3관(서울)
노트
■ 주제의 힘, 주류 극장으로 진입한 다큐멘터리의 힘(강소원)

■ 정신대 할머니들에게 스스로 발언하는 기회를 제공한 다큐(김동원)

■ <낮은 목소리> 시리즈는 독립영화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기념비적 작품이다. 일본군 위안부의 증언을 담아 세상에 널리 알렸을 뿐만 아니라 치열한 제작 및 배급 과정을 통해 당대 독립영화가 고민하고 나아갈 바를 제시했다. 피해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부터 출발한 카메라는 주체적 각성과 실천을 겪으며 변화하는 인물을 기록, 다큐멘터리의 영화적 지평을 넓혀냈다.(김동현 서울독립영화제 집행위원장, 『영화천국』 61호)

■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적인 선언 이후 ‘위안부’ 여성들이 겪은 참혹한 인권침해가 세상에 알려졌다. 변영주 감독은 이를 7년에 걸쳐 3부작으로 제작했다. 특히 <낮은 목소리-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극장에서 개봉한 한국 최초의 다큐멘터리이며, 사회적 소수자의 고통을 타자화하는 문제를 극복한 작품이다. 감독의 성실한 관찰과 운동가로서 쟁점을 제기하는 방식도 인상적이지만, 무엇보다 남성 사회에 길들지 않은 여성주의적 시선을 견지하기 위한 감독의 정치적 실천이 놀라운 영화다.(김일란 다큐멘터리 감독,『영화천국』 61호)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