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로고
통합검색
검색
상세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서비스
ENG
업데이트
검색
DB
컬렉션
VOD
영화글
업데이트
DB
DB
DB 서브
상세검색
작품 DB
인명 DB
소장자료
리스트
영화제
영화글
영화글 서브
연재
한국영화에서 길을 잃은 한국 사람들
한국영화, 스타일을 만든 순간들
한국영화의 정동들
액션과 폭력의 계열들
사사로운영화리스트
세계영화사의 순간들
임권택X102
짧은 영화, 확장된 이야기
종료연재
기관지
VOD
VOD 서브
VOD 이용안내
가이드
VOD 기획전
전체보기
영화
영화인다큐
컬렉션
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서브
KMDB 이용안내
온라인 민원
1:1문의
영화인등록
FAQ
오픈API안내
이용안내
파일데이터
Open API
공지사항
로그인
마이페이지
GNB닫기
DB
이전
한말풍운과 민충정공(일명:혈죽)
A Blood Bamboo (Hanmalpung-ungwa Minchungjeonggong<Hyeoljug>)
ㆍ
1959 년
극영화
12세관람가
대한민국
103분
1959-10-15
(개봉)
제작사
중앙문화영화주식회사
감독
윤봉춘
,
남홍일
출연
김동원
,
전옥
,
김신재
,
이룡
,
방수일
더보기
스크랩하기
DB 수정요청
소장자료
기본정보
영상자료
(11)
필름(3)
테이프(4)
디스크(3)
VOD(1)
이미지
(21)
스틸(21)
문헌자료
(9)
시나리오/콘티(4)
심의자료(5)
영상자료
(11)
필름(3)
테이프(4)
디스크(3)
VOD(1)
이미지
(21)
스틸(21)
문헌자료
(9)
시나리오/콘티(4)
심의자료(5)
담을 위치 선택
내가 본 영화
보고싶은 영화
저장
닫기
이미지 (
21
)
더보기
줄거리
민영환(김동원)은 고종(이룡)에게 신식군대 훈련과 신학문 교육 등 나라를 지키기 위한 대책을 제안한다. 그러나 일본은 강압적으로 을사보호조약을 체결하기 위해 이완용(허장강)을 비롯한 조정의 간신배들과 결탁하여 노골적으로 고종에게 압력을 가한다. 민영환과 뜻을 같이하는 정동식(이택균) 등의 젊은이들은 친일파를 습격하고 이준(성소민)은 상소를 하는 등 보호조약 체결 저지를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이는 무위로 돌아가고 만다. 비분을 참지 못한 민영환은 자결로써 일제에 항거한다.
펼쳐보기
장르
#시대극/사극
#전기
키워드
#구한말
#역사
#고종황제
#을사조약
등록하기
로그인
하시면 새로운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크레디트 (
61
)
더보기
감독
:
윤봉춘
남홍일
출연
:
김동원
민충정공(민영환) 역
전옥
모당 역
김신재
부인 역
이룡
고종황제 역
방수일
이승만 역
스태프
각본
:
조효천
제작자
:
성동호
기획
:
방의석
촬영
:
변인집
조명
:
고해진
편집
:
유재원
음악
:
김희조
미술
:
이봉선
의상
:
미도라사
사운드(음향)-녹음
:
손인호
참여사
제작사
:
중앙문화영화주식회사
상세정보
등급정보
(1)
심의일자
1959-10-14
심의번호
제1584호
관람등급
12세관람가
상영시간
103분
개봉일자
1959-10-15
개봉극장
국도
노트
■ 구한말 한국사회를 재현하기 위해 의상, 소품, 세트 등에 세심하게 신경을 쓴 '시대극'이며, 인물들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쇼트-리버스쇼트 체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등 촬영이 뛰어나다. 나라가 풍전등화에 놓인 상황에서 왕은 어떤 해결책도 제시하지 못한 채 한탄하거나 괴로워할 뿐이다. 유약한 왕의 이미지 혹은 국가적 상황은 1950년대 후반에 나온 시대극이나 사극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그 의미를 생각해 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한국영화사료관
더보기
[발간도서] Historical Films about the Korean Empire
by.
Lee Sun-jin, 2018-08-09
발행일
2012-07-01
[영화잡지] 국제영화 1959년 11월호
발행일
1959-11-01
상단으로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
검색
DB
영화글
VOD
한국영화사료관
저장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