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menu
KMDb
Search
통합검색
검색어 삭제
검색
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서비스
ENG
설정
통합검색
검색
DB
DB 서브
통합검색
상세검색
작품 DB
인명 DB
소장자료
리스트
테마키워드
영화제
영화글
영화글 서브
기획
테마연재
월간스크린
임권택X102
존포드이야기
영화현장
영화인
사사로운영화리스트
시나리오 상상극장
오늘의 뉴우스
비장의 OST
2주의 시네마테크
삐용삐용B무비
리뷰
한국영화걸작선
독립극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칼럼
영화칼럼
애니칼럼
영화사
한국영화사100년
세계영화사의 순간들
웹툰
러브 인 시네마
스노우캣의 배캐유익
종료연재
영화천국
사용자리뷰
VOD
VOD 서브
기획전
고전영화
영화
영화인다큐
한국영화사료관
한국영화사료관 서브
구술채록문
발간도서
영화잡지
연감/총서
공문서
사료 콘텐츠
사료관 게시판
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서브
KMDb 이용안내
VOD 이용안내
가이드
온라인 민원
1:1문의
영화인등록
FAQ
오픈API안내
이용안내
파일데이터
Open API
공지사항
한국영상자료원
로그인
마이페이지
초기화면 설정
GNB닫기
홈
DB
이전
신경균
Shin Kyeong-gyun / 申敬均
출생·사망
1912 ~ 1981
대표분야
감독, 편집, 제작/기획, 시나리오
활동년대
1930, 1940, 1950, 1960, 1970
소장자료
기본정보
이미지
(3)
스틸(3)
이미지 (
3
)
더보기
신경균
신경균
신경균
필모그래피 (
62
)
더보기
각본
:
홍콩서 온 마담장
(신경균, 1970)
일등공신
(신경균, 1967)
연연
(신경균, 1960)
노들강변
(신경균, 1957)
혈로
(신경균, 1954)
총검은 살아있다
(조인복, 1953)
삼천만의 꽃다발
(신경균, 1951)
대지의 아들
(신경균, 1949)
처녀도
(신경균, 1939)
순정해협
(신경균, 1937)
주요경력
1932년 일본 도쿄 신흥키네마에 입사
1936년 귀국
1937년 <순정해협>으로 영화감독 데뷔
1942년 조선영화제작주식회사 입사
1947년 청구영화사 설립
기타정보
기타이름
大空敬均
영화인 정보조사
출처 : 한국영화인 정보조사
신경균은 1930년 교토 일본영화연극학원에 들어가 영화기초를 배우고 1935년 동보영화사 전신인 태진(태진)발성영화사 말단 조수로 입사하는 등 일본에서 영화제작 경험을 쌓고 귀국하였다(신경균). 귀국 후 함대훈의 원작인 <순정해협>(1937)의 각색과 연출을 담당하였다. 이 영화에 대해서는 실패했다는 시각이 있기도 하다(삼천리 제10권 제11호, 1938년 11월). 1939년 <처녀도>를 비롯하여, 1945년 <우리들의 전쟁>, <감격의 일기>, <혈과 한> 등의 작품에서 감독을 맡았다. 해방 이후 <새로운 맹세>(1947)를 감독하면서 최은희를 은막에 발탁하고, 영화감독의 명성을 확고히 하였다. 이후 <대지의 아들>(1949), <여인애사(女人哀史)>(1950)등을 발표하였다. 청구영화사를 설립한 후에는 <찔레꽃>(1957), <노들강변>(1957), <애모>(1959), <여자의 일생>(1962), <홍콩부루스>(1971) 등을 만들었다(동아일보a; 동아일보b; 대중예술인사전).
* 참고문헌
동아일보a 1959년 1월 22일.
동아일보b 1962년 3월 28일 4면.
신경균, 「나의 영화편력」,『격월간 영화』1978년 5ㆍ6월호.
<<식민지 시대 대중예술인 사전>>, 소도, 2006.
[작성: 김영진]
[감수: 김종원]
출처 : 한국영화감독사전
1912년 9월 15일 경상북도 선산 출생. 선산 공립보통학교를 나와 대구로 이사, 대구 농림학교를 졸업. 1930년 봄 영화공부를 위해 일본으로 건너가 교토영화연극학원을 다녔고, 1935년 교토에 있는 한 발성영화사에 연출부 말단 조수로 입사하여 발성영화의 촬영 과정을 습득했다. 이 무렵 교토에는 동보영화사가 발성영화로 출범하고 송죽도 발성영화가 나왔다. 1935년 9월 영화의 부푼 꿈을 안고 서울로 들어와 안석영,사광제 등을 만나면서 영화를 논하게 된다. 이 무렵 대구에서 그의 감독 데뷔작 <순정해엽(純情海峽)>(1937,손일보 김영옥 김일해 출연)에 주연으로 발탁된 손전(그 당시 손일보)을 만났다. 시골 마을의 간이학교 교사가 사랑하는 여교사를 건달의 유혹으로 빼앗기자 학교를 그만두고 악착같이 돈을 모아 재산을 탕진하고 몰락한 사내를 돕는 것으로 복수하는 이 영화는 대단한 호평을 받았다. 후속작으로 일제의 강제징용에 끌려 나갔다가 해방을 맞이하여 고향인 어촌에 돌아온 세 청년이 마을 처녀들과 힘을 모아 부정과 폐습을 타파하고 황폐한 어촌을 재건해 나간다는 내용의 계몽영화 <새로운 맹세>(1947,국도극장 개봉)를 내놓았는데, 19세의 처녀 최은희가 배우로 기용된다. 일제의 강제징용, 징병으로 희생된 전쟁고아들을 모아 두 남녀 주인공이 역경을 헤치며 따듯하게 보살피는 <대지의 아들>(1949,신경균 각본). 이상 세 편의 영화는 그가 설립한 청구영화사 제작으로 흥행에도 성공을 거두었다. 해방 전, 두 편의 친일영화를 만든 바 있는 그로서는 역설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1944년 사단법인 조선영화주식회사를 발족시키고 여기에서 국책으로 포장된 적지 않은 어용영화들이 만들어졌는데 그에게 배당된 것이 <우리들의 전쟁>(1945)이었다. 징용에 나간 남편이 무사히 돌아오기를 바라며 고생을 참고 견딘다는 내용으로 전시 총력을 강조한 내용이었다. 조선총독부가 강제로 모든 영화사를 통합하여 한국인으로 구성된 무용단이 일본 본토로 징용간 한국인을 찾아가 위문하고 그 가족들을 위로한다는 세미 다큐멘터리 형식의 <감격의 일기>(1945)가 만들어진 것도 일제의 패망 직전인 이때였다. 그는 1957년부터 1960년까지 <찔레꽃>,<노들강변>(1957),<화심>,<마도의 향불>(1958),<애모>,<유정무정>(1959),<회정>,<그대 목소리>,<울지 않으련다>,<연연>,<사랑이 피고 지던 날>(1960) 등 가장 많은 작품 활동을 했다. 이후 1971년 <홍콩부루스>를 마지막으로 1973년 영화법이 강화 개정(정식으로 허가된 회사외에는 대명도 안되고 그때까지 합법적으로 인정된 각사의 PD들도 제작이 허용되지 않음)되어 완성 단계에서 빛을 보지 못한 두 작품과 함께 이렇다 할 흥행작을 내지 못한 채 1981년 4월 22일 타계했다.
펼쳐보기
상단으로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
검색
DB
영화글
VOD
한국영화사료관
저장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