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menu
KMDb
Search
통합검색
검색어 삭제
검색
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서비스
ENG
설정
통합검색
검색
DB
DB 서브
통합검색
상세검색
작품 DB
인명 DB
소장자료
리스트
테마키워드
영화제
영화글
영화글 서브
기획
테마연재
월간스크린
임권택X102
존포드이야기
영화현장
영화인
사사로운영화리스트
시나리오 상상극장
오늘의 뉴우스
비장의 OST
2주의 시네마테크
삐용삐용B무비
리뷰
한국영화걸작선
독립극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칼럼
영화칼럼
애니칼럼
영화사
한국영화사100년
세계영화사의 순간들
웹툰
러브 인 시네마
스노우캣의 배캐유익
종료연재
영화천국
사용자리뷰
VOD
VOD 서브
기획전
고전영화
영화
영화인다큐
한국영화사료관
한국영화사료관 서브
구술채록문
발간도서
영화잡지
연감/총서
공문서
사료 콘텐츠
사료관 게시판
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서브
KMDb 이용안내
VOD 이용안내
가이드
온라인 민원
1:1문의
영화인등록
FAQ
오픈API안내
이용안내
파일데이터
Open API
공지사항
한국영상자료원
로그인
마이페이지
초기화면 설정
GNB닫기
홈
DB
이전
자유만세
Hurrah! For Freedom (Ja-yumanse)
VOD
1946년
전체관람가
대한민국
60분
1946-10-21
(개봉)
150,000
(관람)
제작사
고려영화주식회사
배급사
동신영화공사
감독
최인규
출연
전창근
,
유계선
,
황려희
,
김승호
,
복혜숙
더보기
스크랩하기
소장자료
기본정보
영상자료
(19)
필름(7)
테이프(6)
디스크(4)
VOD(2)
이미지
(57)
포스터(2)
스틸(38)
스틸필름(17)
문헌자료
(9)
시나리오/콘티(2)
전단(3)
도서(3)
기타자료(1)
영상자료
(19)
필름(7)
테이프(6)
디스크(4)
VOD(2)
이미지
(57)
포스터(2)
스틸(38)
스틸필름(17)
문헌자료
(9)
시나리오/콘티(2)
전단(3)
도서(3)
기타자료(1)
담을 위치 선택
내가 본 영화
보고싶은 영화
저장
닫기
VOD
자유만세
VOD이용안내
VOD
00:51:00
자유만세[본편]
KMDb VOD
상영시간
00:51:00
색채
흑백
프레임크기
720x480
관람료
0원
NAVER
YOUTUBE
이미지 (
17
)
더보기
자유만세
자유만세
자유만세
자유만세
줄거리
1945년 8월 서울. 독립운동을 하다 일제의 앞잡이 남부(독은기)의 배반으로 체포되어 감옥에 있던 한중(전창근)은 탈출에 성공하여 대학병원 간호부 혜자(황려희)의 집으로 숨어든다. 한중의 지하조직은 예정대로 무장봉기를 일으키기 위해 준비하던 중 박(김승호)이 다이너마이트를 가지고 오다 일본 헌병에 잡히고, 한중은 박을 구출하고 남부의 애인인 미향(유계선)의 아파트로 피신한다. 한중을 숨겨준 미향은 그에게 매료되어 한중의 지하조직이 있는 지하실로 찾아가 정보와 자금을 전달한다. 그 뒤를 밟은 남부와 현병들에 의해 미향은 총에 맞아 죽고, 한중은 총상으로 대학병원으로 옮겨진다. 한중을 사모하던 혜자는 헌병이 잠든 틈을 타 그를 탈출시킨다.
펼쳐보기
장르
#액션
#멜로드라마
#활극
키워드
#1940년대
#1945년
#8.15해방
#광복
#광복영화
#독립운동
#독립투사
#일본헌병
#일본헌병대
#일제말기
#일제말엽
#일제치하
#해방
#항일투쟁
#항일
크레디트 (
29
)
더보기
감독
:
최인규
출연
:
전창근
최한중 역
유계선
미향 역
황려희
혜자 역
김승호
복혜숙
스태프
각본-극작
:
전창근
각본-촬영대본
:
최인규
제작자
:
최완규
사운드(음향)-녹음
:
조종국
사운드(음향)-음향
:
심재훈
현상-현상, 인화
:
한국영화문화협회
스크립터
:
황려희
상세정보
등급정보
전체관람가
개봉극장
국제(구 명치좌)
노트
■ 문화재청 제343호 문화재 등재 필름 (2007.9.17)
8.15 해방 이후 처음으로 제작된 광복영화. 독립운동을 하는 청년을 주인공으로, 그를 사랑하는 두 여자와의 관계는 멜로드라마 플롯을, 일본 헌병대와의 추격전과 총격전은 액션영화의 시각적 특성을 보인다. 광복영화로서 <자유만세>의 역사적 의의도 중요하지만, 한국영화에서 액션·멜로드라마의 초기 형태를 볼 수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 전창근의 배우 데뷔작[자유461025(2)]
■ 서울 상영시 회수 보율이 10일간 78만 5천환이라는 히트를 기록[중외461214(2)]
■ 전창근은 생전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의 마지막 부분을 다음과 같이 회고하기도 하였다. “간호부 혜자(황려희 역)의 도움으로 탈출에 성공하지만 곧 일본 헌병대가 사이드카로 최한중(전창근 역)을 추격하여 산중 총격전 끝에 한중은 죽게 된다." 그 시간이 바로 1945년 8월 15일 동트기 전의 새벽녘이었다." -〈자유만세〉DVD [영상자료원 제작]중에서-
■ 8·15 해방 직후 한국영화계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참가하여 만든 본격 극영화이자 항일과 광복을 소재로 한 영화라는 점에서 영화사적 의의가 있는 작품(정종화)
■ 해방 이후 처음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극영화. 일제 시대 한국영화계를 대표했던 전창근, 최인규가 각본과 연출을 맡았으며, 일본 동보영화사에서 촬영을 배우고 돌아온 한형모, 한국영화 조명기사 1세대인 김성춘, 한국영화 최초의 편집기사인 양주남 등이 제작에 참여했다. 개봉 당시 해방의 감격에 들떠 있던 관객들의 호응으로 흥행에도 크게 성공했다. <자유만세>는 시대적 주제의식과 함께 장르에 대한 한국영화 초기의 관심을 엿볼 수 있는 영화다. <자유만세>는 멜로 드라마와 액션영화의 장르적 관습을 통해 일제에 대한 항거와 해방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곧 독립운동에 투신한 주인공 한중과 그를 사랑하는 두 여자와의 관계는 멜로드라마 플롯에 따라 진행되며, 교차편집까지 시도한 일본 헌병대와의 추격전과 총격전은 액션영화의 시각적 특성을 보인다. 광복영화로서 <자유만세>의 역사적 의의도 중요하지만, 한국영화에서 액션·멜로드라마의 초기 형태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흥미로운 영화다.
■ 제작 후 일담
- 전창근의 배우 데뷔작
- 서울 상영시 회수 보율이 10일간 78만 5천환이라는 히트를 기록[중외461214(2)]
- 전창근은 생전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의 마지막 부분을 다음과 같이 회고하기도 하였다. “간호부 혜자(황려희 역)의 도움으로 탈출에 성공하지만 곧 일본 헌병대가 사이드카로 최한중(전창근 역)을 추격하여 산중 총격전 끝에 한중은 죽게 된다. 그 시간이 바로 1945년 8월 15일 동트기 전의 새벽녘이었다.”
리스트
한국영상자료원
2006 한국영화100선
한국영상자료원
2014 한국영화100선
관련글
더보기
낡은 영화 필름에서 문화 유산으로
한국 고전영화 필름들이 지난해 9월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처음으로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미몽><자유만세><검사와 여선생><마음의 고향><피아골><자유부인><시집가는 날> 등 1930~50년대 필름 7편. 물론 모두 한국영...
by.
황선금(한국영상자료원 보존기술센터)
2008-09-01
상단으로
초기화면 설정
초기화면 설정
검색
DB
영화글
VOD
한국영화사료관
저장
닫기